UPDATE. 2024-03-19 (화)
[SBA서울유통센터TIP]중국인 소비심리 확대..."앞으로 돈 더 쓴다"
[SBA서울유통센터TIP]중국인 소비심리 확대..."앞으로 돈 더 쓴다"
  • 문정원 기자
  • 승인 2018.04.26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온라인 기반 소비심리↑, 소득심리 및 취업심리 개선, 中소비시장 육성 강화 정책 가속화
중국 상해.(사진출처=픽사베이)
중국 상해.(사진출처=픽사베이)

최근 중국의 소비시장 육성을 위한 정책이 강화되면서 온라인 기반의 소비활동을 바탕으로 전체 소매판매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사드 사태로 인한 양국의 긴장이 완화되는 시점에서 중국 대외 교역 여건과 소비심리의 개선은 중국 재진출을 노리는 국내 생활소비재 기업들에게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중국국가통계국 자료를 인용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 GDP 증가율은 6.8%로 지난 2015년 3분기 이후 11분기 연속 6%대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연간 소매판매 총액은 2013년 24조 2,843억 위안(약 4,128조 원), 2015년 30조 931 억 위안(약 5,116조 원), 2017년 36억 6,261억 위안(약 6,226조 원)으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연간 소매판매액의 GDP대비 비중도 2013년 40.8%, 2015년 43.7% 에서 2017년에는 44.3%로 상승했다.

#온라인 기반 소비심리↑, 소득심리 및 취업심리 개선
인터넷, 모바일의 보급과 함께 온라인 쇼핑규모도 연간 30%의 속도로 성장했다. 지난해 중국의 온라인 쇼핑액은 전년대비 30.7% 증가한 5조 4,806억 위안(약 932조 원)을 기록했다. 전체 소매판매액 대비 온라인 쇼핑액 비중을 살펴보면 2015년 10.8%, 2016년 12.6%, 2017년 15.0%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동기간 중국의 최대 쇼핑명절인 알리바바그룹 광군제(매년 11월 11일 )의 1일 매출액도 전년대비 40% 가까이 증가한 1,682억 위안(약 29조 원 )을 기록했다.

도시인구의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빠른 증가세를 보이면서 소비자 심리도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중국 도시인구 1인당 가처분소득은 전년대비 8.3% 증가한 36,396위안으로, 2015년 31,195위안보다 16.7% 증가했다. 지난해 도시인구 1인당 소비지출도 전년대비 5.9% 증가하면서 성장세가 다소 꺾이긴 했지만, 2015년 21,392위안보다 14.3% 증가하며 도시인구의 평균소비성향은 67~68%대를 기록했다.

소비자들의 소득심리와 취업심리도 빠른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인민은행의 도시앙케이트 조사 결과 소비자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소득 및 취업심리가 2016년 4분기부터 빠르게 회복되고 있으며, 그 추세가 2018년 1분기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미래 소득심리는 2015~2016년 분기별 평균 50.5%에서 2017년 이후 평균 53.6%로 확대되고 있다.

#中소비시장 육성 강화 정책 가속화
올해 중국은 내수소비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 사회보장, 주거 등 서민 경제 활성화 관련 예산을 늘리고 주요 수입제품의 수입관세율도 대폭 인하하고 있다. 

우선 민생보장과 국민 소비여력 확대를 위해 의료, 사회보장, 주거 등 민생관련 예산을 전년대비 큰 폭으로 늘렸다․ 올해 의료·보육 관련 지출 예산액은 209억 위안(약 3.6조 원)으로 지난해 집행액 134억 위안보다 55.5%나 증가했다․ 보장성주택(공공임대주택) 등의 공급을 위한 주거보장 예산액도 전년대비 5.1% 증가한 444억 위안으로 책정했다. 사회보장·취업 관련 지출 예산액은 전년대비 8.5% 늘렸고 교육관련 지출도 전년대비 6.5% 늘렸다.

내수소비 촉진을 위해 가전제품, 화장품, 의류제품 등 187개 소비재 품목에 대한 수입관세를 평균 17.3%에서 7.7%로 대폭 인하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부터 187개 품목(HS 8단위 기준)에 대한 평균 수입관세율을 17.3%에서 7.7%로 인하했다. 특히 해외에서의 구입이 많은 기저귀는 무관세화했으며, 소형가전 등 품목은 기존 32%에서 16%로 대폭 인하했다. 또 최근 3월 양회(兩會)와 4월 보아오(博鰲)포럼에서는 올해 자동차 분야 수입관 세율도 현행 25%에서 15% 수준으로 하향 조정할 것을 시사했다.

업계 관계자는 "사드 사태 등으로 국내 기업들이 큰 고초를 겪어듯이 중국이라는 나라가 갖고 있는 '불확실성'이 여전히 상존하지만, 여전히 전세계 최대 시장이라는 점에서 매력적이다."라며 "최근 중국내 소비심리가 빠르게 개선되고 있고 내수진작 및 소비시장 육성 강화정책이 가속화된다는 점은 우리 기업들이 주목할만한 지점이다."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