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04-26 (금)
[M&A] 한화, 비주력 계열사 지분 유동화…항공 관련 기업 M&A 나설까
[M&A] 한화, 비주력 계열사 지분 유동화…항공 관련 기업 M&A 나설까
  • 윤영주 기자
  • 승인 2018.07.15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 픽사베이 제공]
[사진 = 픽사베이 제공]

 

한화그룹이 인수합병(M&A)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비주력 계열사의 지분을 유동화 시키며 실탄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M&A업계는 한화가 신사업 진출을 위해 항공 관련 기업 M&A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매각설이 나왔던 저비용사항공사(LCC) 진에어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구체적인 M&A시장 안팎에서 내용이 나돌고 있다. 한화는 그동안 항공업 진출을 위해 꾸준히 해당 시장 문을 두드려 온 바 있다.

 

15일 M&A업계에 따르면 한화는 최근 비주력 계열사의 지분을 유동화 시키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10일 투자 유가증권 형태로 보유 중이던 한국항공우주(KAI) 지분 5.99%를 2360억원에 매각했다고 공시했다. 주당 매각 가격은 4만420원이으로 10일 종가 기준 4만3000원에 비해 6% 할인된 가격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AI 지분 매각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016년 1월에도 보유 중이던 KAI 지분 4%를 매각해 재원을 확보했다.


M&A업계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AI 지분 매각과 관련해 한화의 신사업 진출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매각 자금 확보를 바탕으로 항공산업 진출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한화는 지난해 항공 산업에 진출하기 위해 청주공항을 기반으로 한 에어로K에 160억원을 투자해 지분 22%를 확보했다. 하지만 에어로K가 신규 면허 발급을 맞지 못하면서 투자금 회수에 나섰다. 투자금은 지난 2월 한화생명이 절반 가량을 되돌려 받았으며 나머지는 오는 8월 한화에어로가 유상감자 형식으로 받을 예정이다.

 

항공업계에선 한화가 항공업계 재진출을 위해 향후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제기되는 진에어 인수를 위해 미리 자금을 마련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단기차임금 상환에 나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화 에어로는 오는 11월 700억원의 회사채를 상황해야한다. 내년에 만기 도래하는 회사채는 2800억원 규모다.


M&A업계 관계자는 "한화는 지난해 LCC사업에 진출하려 했지만 LCC산업이 포하 상태라는 점을 이유료 항공 산업 진출을 하지 못했다"며 "신규 면허는 불가능한 상황에서 진에어 등 최근 상황이 좋지 못해 매물로 나올 수 있는 저가항공사를 인수를 위해 실탄을 마련하고 있는 듯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화가 LCC 항공사의 M&A가 불가하다면 관련 업계 M&A를 통해 향후 사업진출을 모색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한화의 항공기 부품·정비사업을 하는 한화테크윈과 면세사업을 하는 한화갤러리아가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실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지분 처분 목적에 대해  "글로벌 항공엔진 업체로의 도약을 위한 투자재원 확보" 차원이라고 밝혔다. 남북화해모드가 조성돼 방위산업 업계에 위기가 예상되자 한화가 업종다각화 및 신 사업동력 확보를 위해 투자 재원을 확보하고 항공 선진국인 미국이나 유럽의 중견 항공 부품사를 인수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한화투자증권 측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15년 미국 P&W(Pratt & Whitney)사와 기어드터보(GTF)엔진의 엔진 부품 및 모듈 장기 공급계약(RSP, Risk%Revenue Sharing Program)을 체결했고, 지난해 약 480억원을 투자한 데 이어 올해와 내년 각각 800억원 전후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항공 엔진 부품 업체로 도약하기 위해 RSP 사업 관련 투자 재원 확보는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설명이다.

[사진 = 픽사베이 제공]
[사진 = 픽사베이 제공]

 

한화 측은 항공산업과 진출 가능성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이다. 지분 매각 사유는 기존 사업에 집중하고 투자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당분간 항공부품사업에 집중하기 위한 것이란 것이다.
한화 측은 "글로벌 엔진공급업체의 메이저 서플라이체인에 들어가기 위해 연구개발비에 향후 6~7년간 지속적으로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자금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